줄리 터너 美 북한인권특사 “올해 가을 유엔 총회서 기회 있을 것”

“올해 초 중국 UPR이어 11월에 북한 UPR서도 강제북송 문제 제기”
“중국 정부와 협력도 포기하지 않을 것...외교적 압력‧대화 조절돼야”

“러‧중국 등 파견 北근로자들, 하루 18시간 강제노동 시달리고 있어”
“임금의 90%는 무기개발 자금 위해 북한 정부에 다시 보내지고 있어”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연합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연합

“미국 정부는 강제북송 사태에 대한 국제적 인식을 높이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국제사회의 압력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어요. 중국은 유엔과 다른 다자간 포럼에서 인권 침해자로 지목되었습니다.”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지난 14일(현지시각) 미 버지니아주 소재 한인커뮤니티센터에서 북한인권단체 ‘원코리아네트워크’(OKN, One Korea Network) 주최로 열린 간담회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터너 특사는 그러면서 “올해 가을 열리는 유엔 총회에서 이 문제를 강조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다른 나라에 강제북송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한국 정부가 올해 초 중국에 대한 보편적 정례인권검토(UPR)에서 강제북송 문제했다”며 “올해 11월에 예정된 북한에 대한 UPR에서도 강제북송 문제가 또다시 제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불어 “탈북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정부와의 협력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도 이날 강조했다. 

그녀는 “외교적 압력과 대화가 균형 있게 조절돼야 한다”며 “유엔난민기구(UNHCR)가 중국에서 난민 절차를 공식적으로 시작할 수 있게 되면 모든 사람이 이 문제를 훨씬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전했다.

터너 특사는 북한 인권 침해가 더 심해지고 있는 이유에 대해선 “북한 정부의 체계적인 탄압이 그들을 점점 더 도발적인 행동을 펼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한 정부가 국민의 권리를 부정하고 억압하면서 무기 프로그램에 투자를 계속하고 있다는 점을 미국 정부는 여러 번 지적해 왔다”고 전했다. 

끝으로 “북한이 러시아와 중국 등 세계 각지로 파견한 근로자들이 하루 18시간 강제노동에 시달리고 있지만 임금의 10% 정도만 받고, 나머지 90%는 북한 무기 프로그램 개발 자금을 위해 북한 정부에 다시 보내지고 있다”며 “이 때문에 노동자의 일부가 영양실조로 고통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